고객지원 > 동창회뉴스
 
  
  윤동한(66/경영)회장 "역사는 미래를 가꾸는 데 필요한 거울 같은 것"  
--- 사무국 --- 7360
글쓴날짜 : 2013-07-29


윤동한 회장 "역사는 미래를 가꾸는 데 필요한 거울 같은 것"

 

“나를 들여다보고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기 위한 도구가 바로 거울이지요. 거울은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구리로 만들어 얼굴을 보는 동경(銅鏡), 마음을 보는 심경(心鏡), 그리고 또 하나가 역사를 비추어 오늘을 바라보고 미래를 준비하는 사경(史鏡)입니다.”

윤동한 한국콜마 회장(66·사진)의 대답은 명쾌했다. 최근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 지정’ 서명운동에 전 직원 1000여명을 동참시킨 이유를 묻는 질문이었다. 지난달 5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주도로 시작된 이 서명운동은 ‘한국사 지킴이 100만대군 프로젝트’(www.millionarmy.co.kr)라는 이름으로 22일 현재 6만3000여명이 서명했다. 고교 한국사는 2005학년 수학능력시험부터 선택과목으로 바뀐 상태로 지난해 치러진 2013학년 수능에서는 문과 응시자의 12.8%(전체의 7.1%)만이 국사를 선택했다.

지난해 매출 5500억원, 국내 화장품 제조업자개발생산(ODM) 시장 1위 업체인 한국콜마를 경영하고 있는 윤 회장의 ‘역사 사랑’은 정평이 나 있다. 한국콜마에 입사하기 위해서는 국사편찬위원회가 주관하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급 자격증이 필수다. 입사 시 당락을 가를 만한 가산점을 부여한다. 사보에는 인문학산책 코너를 활용해 역사속 인물을 소개하고, 매년 6월 월례회의 때는 6·25전쟁을 주제로 특강을 한다.

“역사라는 게 특별한 학문이라기보다 가정생활, 회사생활 그 자체”라는 윤 회장. 사내 복지도 특별하다. 직원 중 부모를 모시고 사는 경우에 월 20만원을 현금으로 준다. 현재는 대부분의 기업에서 일반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반차휴가’를 처음으로 도입한 것도 윤 회장이다. 1980년대 대웅제약 부사장 때 일이다.

1970년 농협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해 대웅제약 부사장을 거쳐 1990년 한국콜마를 설립한 윤 회장, ‘생활속의 역사’라며 뼈있는 한마디를 전했다. “거창하게 볼 것 없어요. 직장인이라면 전임·후임 간의 사이가 곧 역사입니다. 전임이 해놓은 일을 싹 무시하고, 완전히 새로운 것을 하려고 하면 사이가 좋을 리가 없겠지요. 이게 역사의 시작입니다. 1층 없는 2층은 없는 것이거든요. 정치도 마찬가지 아닌가요. 이전 정부의 정책을 이을 것은 이으면서 새로운 미래를 논의해야 할 판에,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봅니다. 죽은 자를 이용하는 정치는 새로운 문제를 끊임없이 유발할 뿐입니다.”

세계를 누비며 독도와 대한민국을 홍보하고, 이번엔 ‘한국사 지킴이’를 자처하고 나선 서 교수를 돕는 이유를 하나 덧붙였다. “어릴 적 장래 희망이 역사선생님이었어요. 고교 3학년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5남매의 생계를 챙겨야 했기에 포기했지요. 서 교수나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 같은 ‘발로 뛰는’ 역사가를 돕는 것으로 대리만족한다고 해야 할까요. 앞으로 최고경영자(CEO) 모임에 나갈 때는 ‘한국사 프로젝트’ 서명지를 들고 다닐 작정입니다.”




이전글 "오너 부재로 중장기 투자결정 애로..CJ대한통운도 M&A 몇건.. 사무국  2013/08/07 
이전글 이동필(74/축산) 농식품부 장관 "농업, 6차산업으로".. 사무국  2013/07/29 
다음글 경제계 찾아간 교육부 장관 사무국  2013/07/23 
다음글 [CEO&CEO] 윤동한(66/경영) 한국콜마 회장 -- 매경7월15일자.. 사무국  2013/07/15